DA 가이드

DA, SQL, DB보안 등 실무자를 위한 위한 DB기술 바이블!

데이터베이스 관리

데이터 품질관리 이해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 이해
데이터베이스 관리
작성자
admin
작성일
2021-02-10 16:49
조회
8652

정의 및 관리 목적

데이터베이스 관리란 원활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를 안정적으로 운영, 관리 하는 데 필요한 작업을 체계화하는 것으로 백업, 보안, 튜닝, 모니터링 등의 작업이 포함된다. 데이 터베이스 관리 작업은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가 오류 및 훼손 없이 안정적으 로 서비스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생성 및 변경, 보안, 성능 개선, 백업 관리를 지속적으 로 수행할 수 있도록 체계화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관리 체계화를 통해 데이터의 오류 및 훼손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형태로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서비스함으로써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업무 활동의 기반 을 마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세스 중 보안 관리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보안뿐만 아니라 애플리케이션, PC, 문서 등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모든 자원에 대한 외부 침입으로부터의 보호이기 때문에 별도 의 상세화된 지침을 통해 정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보안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는 별도의 보안 담당자를 선임하는 것이 좋으며,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의 경우 데이터베이스 및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된 데이터에 대한 보안에 책임을 갖도록 한다.


세부 관리 대상

세부 관리 대상으로 표준 데이터, 모델 데이터, 관리 데이터, 업무 데이터, 데이터베이스가 있다. 해당 데이터와 관련된 내용은 앞서 1장 데이터 이해와 2장 데이터 구조 이해에서 다루었으므로 여기 서는 생략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세스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세스
DQ6.1.1 데이터베이스 생성

[그림 6-3-17]의 DQ6.1.1 데이터베이스 생성은 비즈니스 요건에 맞게 설계된 데이터 모델을 토 대로 작성된 DDL문을 가지고 데이터베이스의 물리 특성을 고려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한다.


DQ6.1.2 백업 주기 및 스케줄 정의

[그림 6-3-17]의 DQ6.1.2 백업 주기 및 스케줄 정의는 어떠한 장애가 발생되더라도 사용 중인 데 이터의 완전 복구가 가능하도록 백업 주기 및 스케줄이 정의되어야 한다. 따라서 일 단위, 주 단위, 월 단위, 년 단위의 백업 주기별 백업 내용을 정의해 관리해야 한다. 백업 주기별 스케줄 표는 [그 림 6-3-18]과 같은 형식으로 작성할 수 있다.

[그림 6-3-17]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세스

[그림 6-3-18] 백업 주기별 스케줄 예


DQ6.1.3 데이터베이스 백업 수행

[그림 6-3-17]의 DQ6.1.3 데이터베이스 백업 수행은 백업 주기별 스케줄 표를 참고로 하여 백업 을 수행한다. 백업 수행 절차는 데이터베이스 가동 상태가 정상인지를 확인하고 배치 작업이 없는 시간을 배정하여 백업을 수행한다. 백업 수행이 완료되면 로그 파일 및 루트 메일(Root Mail)을 통해 결과를 확인한다. 백업 결과에 대해서는 일지를 반드시 기록해야 하며, 실패한 경우에도 작성 하도록 한다. 백업 실패 시 재수행을 하며, 재수행이 불가능할 경우 각 기관에서 정의한 장애 관리 프로세스에 의해 처리하도록 한다. 백업 수행과 관련되는 백업 일지 및 백업 관리 대장은 [그림 6- 3-19], [그림 6-3-20]과 같은 형식으로 작성할 수 있다.

[그림 6-3-19] 백업 일지 예

[그림 6-3-20] 백업 관리 대장 예


DQ6.1.4 데이터 보안 대상 선정

[그림 6-3-17]의 DQ6.1.4 데이터 보안 대상 선정은 보호되어야 할 자산의 파악 및 가치에 대한 평가 작업을 수행하고, 시스템에 존재하는 취약점 및 위험 요인에 대한 분석 작업을 수행한다. 분 석된 결과를 토대로 보안 대상을 선정하고 선정된 대상에 보안 등급을 적용하여 중요도에 따른 차 등 보안 적용을 수행한다.


DQ6.1.5 데이터 보안 적용

[그림 6-3-17]의 DQ6.1.5 데이터 보안 적용은 보안 관리 대상별 중요도에 따른 보안을 적용하는 작업으로, 물리적 접근 보안 및 네트워크 보안, 서버 및 운영체제 보안, 데이터베이스 보안, 응용 시스템 보안, PC 보안 등 종합적인 보안 적용이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데이터베이스 보안은 데이 터베이스 사용자에 대한 보안 관리와 데이터베이스 자체에 대한 보안, 데이터에 대한 보안으로 나 눌 수 있으며,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른 체계적인 적용이 필요하다.


DQ6.1.6 데이터 보안 교육 수행

[그림 6-3-17]의 DQ6.1.6 데이터 보안 교육 수행은 기관별로 수립된 데이터 보안 정책을 년 1회 이상 전 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시해야 하며, 교육 평가 작업 등을 통한 고품질의 교육이 될 수 있도 록 체계화한다. 보안 교육의 예로는 컴퓨터 및 인터넷에 대한 구조 및 해킹과 관련된 일반 내용을 담은 정보 보호 입문부터 인터넷 서버 보안 교육, 네트워크 보안 교육, 해킹 및 대응 등과 같은 세 부적인 교육까지 체계적으로 수립·시행되어야 한다.


DQ6.2.1 데이터베이스 성능 개선

[그림 6-3-17]의 DQ6.2.1 데이터베이스 성능 개선은 해당 기관의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성능 개선 사항으로, 정적인 수치 요구와 동적인 수치 요구를 처리하는 작업인 데이터베이스 성능 개선을 들 수 있다. 성능에 대한 작업은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개선되는 경우도 있지만 자체적인 성능개선 대상을 선정하고 선정된 대상에 대해 일별, 주별, 월별 모니터링 작업을 통해 일정 정도 성능 기준 에 미달했을 경우 조정하는 작업도 있다. 이러한 주기적인 성능 개선 작업은 안정적인 서비스를 위 한 근본적인 해결 방법이라 하겠다. 이때 작성해야 하는 것으로 [그림 6-3-21]과 같은 성능 개선 관리 대장이 있다.

[그림 6-3-21] 성능 개선 관리 대장 예


DQ6.2.2 데이터 보안 개선

[그림 6-3-17]의 DQ6.2.2 데이터 보안 개선은 중요 데이터에 대한 훼손, 변조, 도난, 유출에 대 한 물리적 접근 통제(제한 구역, 통제 구역 등) 및 사용 통제(인증, 암호화, 방화벽 등)에 대한 요건 이 발생되었을 경우 보안 장치를 개선하는 작업으로, 데이터 보안 개선을 들 수 있다. 보안 작업 또 한 성능 개선 작업과 마찬가지로 보안 대상에 대해 항시적인 모니터링 작업을 통한 주기적인 개선 작업이 안정적인 데이터 관리를 위한 근본적 해결 방법이라 하겠다. 보안 개선 관리 대장은 [그림 6-3-22]와 같은 형식으로 작성할 수 있다.

[그림 6-3-22] 보안 개선 관리 대장 예


DQ6.2.3 데이터베이스 복구

[그림 6-3-17]의 DQ6.2.3 데이터베이스 복구는 장애 등으로 인해 데이터에 대한 전반적인 훼손 및 에러로 인해 기존 백업된 데이터로의 복구 작업이다. 안정적인 복구 작업을 위해서는 복구와 관 련된 작업 절차를 사전에 정의하고 정의된 절차에 따라 사전 테스트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복구 관리 대장은 [그림 6-3-23]과 같은 형식으로 작성할 수 있다.

[그림 6-3-23] 복구 관리 대장 예


DQ6.2.4 테스트 데이터베이스 변경

[그림 6-3-17]의 DQ6.2.4 테스트 데이터베이스 변경은 변경 요청에 의해 제시된 요건에 따라 변 경된 데이터 모델을 토대로 작성된 DDL문을 가지고 데이터베이스의 물리 특성을 고려한 테스트 데이터베이스를 변경된 데이터 모델과 동일한 형태로 변경하는 작업이다.


DQ6.2.5 운영 데이터베이스 이관

[그림 6-3-17]의 DQ6.2.5 운영 데이터베이스 이관은 테스트 데이터베이스에 변경된 내역을 토대 로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문제점을 확인하는 단위 테스트와 타 애플리케이션과의 인터페이스 를 테스트하는 통합 테스트, 사용자의 만족도를 확인하는 사용자 테스트 등을 수행한 후 안정성 및 정확성이 확보되면 운영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변경 내역을 반영한다.


데이터베이스 개선 프로세스

[그림 6-3-24] 데이터베이스 개선 프로세스


DQ6.3.1 데이터베이스 객체 관리 효율성 체크

[그림 6-3-24]의 DQ6.3.1 데이터베이스 객체 관리 효율성 체크는 현재 설정된 데이터베이스의 객체에 지정한 제약 조건과 객체 유형을 확인하여 최적의 성능을 보장하고 데이터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객체 관리 규칙들인지 평가하는 것이다.


DQ6.3.2 비효율 원인 분석

[그림 6-3-24]의 DQ6.3.2 비효율 원인 분석은 현재 설정한 객체 관리 유형이나 객체 유형이 비 효율적 성능을 보인다면 해당 원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불필요한 제약 규칙의 남발이나 저장 공간 지정의 부적절, 데이터 객체에 데이터 분할 저장 방법의 문제, 인덱스 구성 칼럼의 순서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DQ6.3.3 변경 영향도 분석

[그림 6-3-24]의 DQ6.3.3 변경 영향도 분석은 비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제약 조건이나 객체 유형을 변경할 수도 있으나 테이블의 통합/분리의 변경이 요구된다면 물리 데 이터 모델의 변경이 요구될 수도 있다. 또한 객체의 도메인이 변경될 수 있다면 데이터 표준의 변 경이 역으로 요구될 수도 있다.